Dataset Viewer

The dataset viewer is not available because its heuristics could not detect any supported data files. You can try uploading some data files, or configuring the data files location manually.

Dataset 구조 설명

이 디렉토리는 STAMP 프로젝트의 데이터셋을 포함하며, 다음과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디렉토리 구조

dataset/
├── emb128/                        # 128차원 임베딩 데이터
│   ├── trace_embed/               # 원본 임베딩 데이터
│   ├── autoencoder_stage1/        # 오토인코더 학습/추론 결과
│   │   ├── weight/                # 학습된 모델 체크포인트
│   │   └── infer_result/          # 추론 결과 (잠재 공간 데이터)
│   ├── trace_latent/              # → autoencoder_stage1/infer_result (심볼릭 링크)
│   └── setting/                   # 설정 파일
├── emb256/                        # 256차원 임베딩 데이터
│   ├── trace_embed/               # 원본 임베딩 데이터
│   ├── autoencoder_stage1/        # 오토인코더 학습/추론 결과
│   │   ├── weight/                # 학습된 모델 체크포인트
│   │   └── infer_result/          # 추론 결과 (잠재 공간 데이터)
│   ├── trace_latent/              # → autoencoder_stage1/infer_result (심볼릭 링크)
│   └── setting/                   # 설정 파일
└── label_configuration/           # 레이블 데이터 (CLIP에 사용)

데이터 형식 설명

1. 임베딩 차원 (emb128, emb256)

  • emb128: trace_embed에서 128차원 임베딩 사용
  • emb256: trace_embed에서 256차원 임베딩 사용
  • 각 폴더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임베딩 차원만 다름

2. trace_embed/

원본 임베딩 데이터가 저장된 폴더입니다.

데이터 형식 예시 (shape: [3905, 512, 6, 256]):

  • 3905: 샘플 수 (디바이스별 데이터)
  • 512: 시퀀스 길이
  • 6: 채널 수
  • 256: 임베딩 차원 (emb256의 경우, emb128은 128)

학습 시 데이터 변환:

  • 저장 형식: (N, Seq, C, Emb)(3905, 512, 6, 256)
  • 학습 형식: (B, C, H, W) → 512(seq)와 6(ch)의 자리가 바뀜

3. label_configuration/

CLIP 모델에 사용될 레이블 데이터입니다. 사실 윈도우 샘플당 label은 19개씩 인데, outpaint를 위해서 window size(512)의 절반(256)만큼마다 labeling한 결과라 두개씩 concat한 데이터 입니다. 즉, (앞19+뒤19 = 총 38)이 되는겁니다.

데이터 형식 예시 (shape: [3905, 38]):

  • 3905: trace_embed와 동일한 샘플 수 (1:1 대응)
  • 38: 레이블 차원

데이터 대응 관계:

  • 하나의 샘플: trace_embed (512, 6, 256)label (38)
  • 임베딩 사이즈(emb128/emb256)에 관계없이 동일한 레이블 사용 가능

4. autoencoder_stage1/

오토인코더 학습과 추론의 모든 결과가 저장되는 디렉토리입니다.

weight/ - 학습된 모델 체크포인트:

  • stage1_epoch_XXXX.pt: 정기 체크포인트 (32 에포크마다)
  • stage1_best.pt: 최고 성능 모델

infer_result/ - 추론 결과:

  • recon_XXXXXX.npy: 재구성된 임베딩 데이터
  • target_model.txt: 사용된 모델 경로
  • metrics.csv: 평가 지표

5. trace_latent/

autoencoder_stage1/infer_result/에 대한 심볼릭 링크로, 기존 코드와의 호환성을 위해 제공됩니다.

데이터 정보 확인

각 폴더의 data_info.json 파일에서 해당 데이터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hape: 데이터 형태
  • dtype: 데이터 타입
  • min_value, max_value: 최솟값, 최댓값
  • size_gb: 파일 크기 (GB)

참고사항

  • 자세한 학습 코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은 autoencoder-stage1/ 폴더의 코드를 참고하세요.
  • 데이터 정보 생성은 playground/generate_data_info.py 스크립트를 사용합니다.

Dataset Information

  • Total Files: 21
  • Total Size: 88.66 GB
  • Embedding Dimensions: emb128, emb256
  • Last Updated: 2025-09-19T21:01:16.164200

Usage

from datasets import load_dataset

# Load the dataset
dataset = load_dataset("selen-kim/stamp-dataset")
Downloads last month
418